본문 바로가기

2025 재택근무 장려금 제도 총정리 – 신청 방법부터 지원금액, 변경사항까지

똑순이햄스터 2025. 4. 11.

 

📌 2025년 1월 13일, 고용노동부는 '2025년 일·생활 균형 기업지원제도'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. 그중 눈에 띄는 소식은 주 1회만 재택근무를 해도 장려금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인데요! 오늘은 재택근무 장려금의 달라진 지원 조건과 신청 방법, 금액까지 총정리해 드릴게요.

🔍 2025 재택근무 장려금, 무엇이 달라졌나요?

기존: 월 6회 이상 재택근무 시 장려금 지급
변경: 주 1회 이상(월 4회) 재택근무만 해도 장려금 지급

이는 실제 재택근무 활용 패턴을 반영하고, 유연근무제 도입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 변경입니다.

💰 장려금 지원금액 (일반 근로자 vs 육아기 근로자)

유형 시차출퇴근 재택/원격근무 선택근무
일반 근로자 월 최대 20만원 월 최대 30만원 월 최대 30만원
육아기 근로자 (12세 이하 자녀) 월 최대 40만원 월 최대 60만원 월 최대 60만원

💡 Tip: 육아기 근로자에겐 최대 2배까지 혜택이 확대됩니다!

🔧 중소·중견기업을 위한 인프라 지원도 확대!

지원 대상 시스템

  • 출퇴근 관리시스템
  • 업무용 소프트웨어
  • 보안시스템
  • 협업 툴

2025년 신규 지원

근로시간 단축을 위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 도입 시에도 지원!

※ 기존: 시차출퇴근, 재택·원격근무, 선택근무 활용 시만 지원

이는 육아지원 3법 개정으로 확대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(8세 자녀 대상 최대 2년 → 12세 자녀 대상 최대 3년) 등 제도를 사업장에서 원활히 운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

  • 중소·중견기업이 유연근무제를 원활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 비용도 지원합니다. 일·생활 균형 인프라 지원 사업을 통해 최대 2,0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
🤰 임신 근로자를 위한 요건 완화

완화 내용 요약
  • 전자적 출퇴근 기록 의무 면제
  • 6개월 이상 근속 요건 면제
  •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범위 확대 – 고위험 임신부는 전 기간 적용

이 개편안은 2025년 2월 23일 시행되는 육아지원 3법 개정안과 맞물려, 근로자의 권익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전망입니다.

📝 장려금 신청 방법 (오프라인 & 온라인)

📊 유연근무제 효과는?

항목 비율
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비율 72%
도입 후 '긍정적' 평가 97%

고용노동부 편도인 고용지원정책관은 "현장의 의견을 들어 지원 제도를 확충한 만큼 많은 기업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"고 밝혔습니다.

유연근무제는 근로자의 일·가정 양립뿐만 아니라 기업의 생산성 향상, 우수 인재 확보, 이직률 감소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.

 

💡 놓치면 아까운 제도, 지금 준비하세요!

2025년부터는 주 1회만 재택근무해도 지원금을 받을 수 있어 실질적인 혜택 범위가 크게 확대됩니다. 특히 육아기·임신 근로자에게는 맞춤형 정책이 마련되어 있는 만큼,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 적극 활용하길 추천드려요.

댓글